1억 명이 넘는 인구를 보유한 베트남은 인구 기준으로 세계 13위를 차지하며 화장품 제조업체 및 유통업체에게 매력적이고 잠재적인 시장이다.
시장조사업체EuroMonitor International의 평가에 따르면 베트남 화장품 시장 규모는 연평균 6%씩 성장하고 있다. 2026년까지 화장품 산업의 총 매출은 3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세계 소비자들은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제품을 통해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베트남 뷰티 케어 시장은 이러한 추세 덕분에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지속 가능한 뷰티 트렌드
안전하고 자연 친화적인 화장품들은 친환경적인 성분들을 활용한 덕분에 더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Z 세대 - 미래 소비자들의 주요 그룹 - 덕분에 이러한 추세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2023년 4월 발표된 Ulta의 연간 ESG 보고서에 따르면, 50% 이상의 Z 세대가 제품을 구매하기 전에 뷰티 및 퍼스널 케어 제품의 성분을 주의 깊게 고려하는 경향을 보였다. Circana 시장 조사 기관의 다른 보고서에 따르면, 피부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65% 이상의 소비자들이 안전하고 자연 친화적인 성분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소비자들의 점점 더 높아지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많은 브랜드와 제조업체들이 해로운 성분을 제거하고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혁신하고 있다. Statista의 데이터에 따르면 전 세계 천연 및 유기농 화장품 시장은 2025년까지 157억 달러에 달해 뷰티 산업의 획기적인 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에서만 천연 및 유기농 스킨케어 제품이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이 시장의 잠재력에 대한 분명한 증거이다.
그런 배경에서 베트남은 코코넛, 자몽 에센셜 오일, 알로에 베라, gac(걱), 강황, 솝베리, 프로폴리스, 레몬그라스, 라임 등 활용도가 높은 풍부한 천연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퍼스널 케어와 뷰티 부문에서 풍부한 자연의 원료들은 소비자에게 안전성과 효과성에서 모두 긍정적인 피드백을 많이 받았다. 이는 베트남의 미용 산업 기업들에게 상당한 이점을 제공하며 국제 시장에 진출할 때 차별성을 만들어낸다.
가장 오래된 국내 브랜드 중 하나인 Thorakao는 레몬, 강황, 오이, gac, 엘레우신 인디카, 자몽 꽃과 같은 순수 베트남 성분을 헤어 케어, 바디 케어, 스킨 케어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하였다. “현재 Thorakao 제품은 라오스, 캄보디아, 중동에서 판매가 잘 되고 있다. 회사는 유럽, 미국, 캐나다, 호주의 많은 매장에 제품을 출시하였다. 천연 성분과 허브에서 추출한 화장품은 점점 더 국제 시장에서 확고한 포지셔닝을 만들어 내고 있다.”고 Thorakao 이사회 의장인 Mr. Huynh Ky Tran이 말했다.
마찬가지로 2013년 런칭한 Cocoon 브랜드 역시 커피 (닥락), 유기농 장미 (까오방), 강황 (흥옌), 팜슈가 (안장), 코코넛 오일 (벤트레)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 많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다. 각 제품을 홍보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재료에 대한 스토리를 첨부하였다. Co Mem은 또한 베트남 특유의 농산물을 많이 사용하여 스킨케어, 메이크업, 향수, 홈케어, 유아용품 등 가장 많은 분야에 참여하고 있는 베트남 화장품 기업이기도 한다.
“시장 조사를 통해 선진국 소비자들이 천연 및 유기농 성분이 함유된 제품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는 이 물결이 베트남으로 퍼질 것이라고 믿는다. 모발과 피부에 아주 좋은 인기 있는 허브들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베트남 문화의 마크가 새겨진 제품을 통해 천연 화장품은 문화를 수출하고 세계에서 베트남의 위치를 확증할 수 있다."라고 Cỏ Cây Hoa Lá 브랜드의 브랜드 공동 창립자 겸CEO인 Ms. Lan Phuong 씨는 말했다.
'베트남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베트남 내 FMCG 업계 경쟁 심화 전망 (0) | 2024.05.13 |
---|---|
시장 변화함에 따른 소매업체들의 변화 (1) | 2024.05.10 |
쇼퍼테인먼트 (Shoppertainment) 트랜드: Kiehl's, Garnier Vietnam 등 브랜드가 새로운 쇼핑 형태의 잠재력을 발견 (0) | 2024.05.08 |
Shopee x Kantar Profiles: 베트남 Z세대 온라인 쇼핑 행동에 관한 조사 (0) | 2024.05.07 |
중산층의 소득 증가, 소비 소매산업의 전망 (0) | 2024.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