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남아시아

(130)
동남아, 세계 주요 숏폼 영상 소비 시장으로 부상 2025년 4월 25일, We Are Social과 Meltwater는 "Digital 2025: April Statshot"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동남아시아는 전 세계에서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 소비가 가장 많은 시장 중 하나로 나타났다. 특히 주목할 점은, 브이로그나 튜토리얼 같은 긴 영상보다 TikTok이나 Reels와 같은 짧은 영상 콘텐츠가 더 많이 시청되고 있다는 점이다.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는 전 세계에서 주당 짧은 영상 시청일 수가 가장 많은 국가 상위권에 속한다. 이들 국가의 인터넷 사용자들은 하루 평균 1시간 이상을 짧은 영상 시청에 할애하고 있다. 필리핀은 짧은 영상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국가로, 평균적으로 주 5일, 매주 약 10.5시간을 시청한다. 이 나라는 또한..
동남아시아 간식 시장 급성장 간식 시장은 단순한 소비재를 넘어, 고부가가치 투자처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다. 높은 투자 금액과 프리미엄 가치 평가를 받은 거래가 잇따르며, 이는 단순히 소비자의 수요 증가를 보여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동남아시아의 주요 소비재 시장이 성숙해지고 있으며 투자 가능한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현재 동남아시아는 인구 7억 명 이상, 평균 연령 31세로, 인구통계학적으로 매우 강력한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지역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간편하면서도 맛있는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며 간식 시장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다. 현재 동남아 전체 간식 시장 규모는 약 490억 달러에 달하며, 연평균 성장률(CAGR)은 7.4%로, 세계 평균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확장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인도네..
베트남, 동남아에서 AI 활용 온라인 판매 1위 지난 4월 9일 라자다(Lazada)가 발표한 ‘AI 격차 해소: 동남아시아 온라인 판매자의 AI 인식 및 활용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과 인도네시아가 전자상거래 분야에서 AI 활용 수준 면에서 동남아 지역을 선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모두 AI를 비즈니스 활동에 적용하는 비율이 42%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싱가포르와 태국(각각 39%)보다 높은 수치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동남아시아 온라인 판매자들은 AI에 대해 어느 정도 익숙한 편이며, 전체의 약 68%가 AI에 대한 이해도가 있다고 답했다. 베트남의 경우 이 비율이 77%에 달해, 지역 평균보다 높은 관심과 이해도를 보여준다. 하지만 AI에 대한 인식과 실제 활용 사이에는 여전히 뚜렷한 차이가 존재한..
럭셔리 스킨케어 브랜드 POLA, 동남아시아 시장 공략 일본의 화장품 기업 POLA Orbis Holdings의 대표 브랜드인 POLA가 동남아 시장 확장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특히 중국 사업이 부진한 상황에서, 동남아 지역 내 오프라인 매장 수를 2027년까지 두 배로 늘릴 예정이다. 2024년 말 기준 POLA는 동남아시아에 23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2024년 중국 시장에서의 부진한 실적에 따른 대응이다. POLA의 2024 회계연도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순매출은 전년 대비 5.8% 감소한 928억 엔(미화 약 6억 2,650만 달러)을 기록했다. POLA Orbis Holdings의 대표이사 Yoshikazu Yokote (요코테 요시카즈)는 “현재 경제 상황과 화장품 소비 트렌드가 모두 약세를 보이고 있어, 2025년은 성장..
중국 F&B 체인, 동남아 시장 진출 가속화 중국의 식음료(F&B) 브랜드들이 동남아시아에서 빠르게 성장하며, 미국의 유명 F&B 체인들과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동시에, 이들은 지역 내에서 중국의 상업적·문화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중국의 대표적인 아이스크림 및 밀크티를 전문으로 판매하는 F&B 체인 Mixue는 매장 수 기준으로 Starbucks와 McDonald’s를 넘어섰다. 올해 초 World Coffee Portal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9월 기준 Mixue는 전 세계 45,000개 이상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중 40,000개 이상이 중국에 위치하고 있다. Mixue의 매장은 대부분 프랜차이즈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Mixue뿐만 아니라, 다른 중국 F&B 브랜드들도 동남아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며, Starbu..
중국 화장품,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급성장 이커머스 데이터 분석 회사인 YouNet ECI는 2023년 9월부터 2024년 8월까지, 5개 중국 화장품 브랜드가 베트남의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Shopee, Lazada, TikTok Shop, Tiki에서 총 2,6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확인했다. 특히, 지난해 8월 한 달 동안 이 브랜드들의 총 거래액은 350만 달러로, 같은 기간 대비 180%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베트남에서 온라인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중국의 5대 뷰티 브랜드는 Focallure, Colorkey, Judydoll, Perfect Diary, Zeesea이다. 한편, 이커머스 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Metric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2024년 8월까지 Shopee, Lazada, Tiki 세 플랫폼에서 ..
베트남, 동남아 음식 배달 시장 성장 선도 2024년 베트남 음식 배달 산업의 총 거래액(GMV)은 18억 달러로 예상되며, 2023년 대비 26% 증가하여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는 대형 음식 배달 플랫폼들의 고객층 확대, 서비스 지역 확장, 그리고 비즈니스 생태계 활용 능력에서 비롯된 것이다.  앞서 언급한 GMV(총 거래 가치)는 Grab, Foodpanda, Gojek, Deliveroo, Lalamove, LINE MAN, ShopeeFood 및 BeFood와 같은 플랫폼을 통한 음식 배달 주문(취소 또는 환불된 주문 포함)을 기준으로 산출되었다.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인도네시아가 54억 달러의 GMV로 가장 높은 시장 규모를 기록했다. 반면, 필리핀은 레스토랑 체인들이 자체 배달 시스템을 운영하고, 동시에 ..
동남아시아 화장품 전자상거래 시장 트렌드 뷰티 산업은 전 세계 이커머스 시장에서 가장 매력적인 성장 분야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Statista의 예측에 따르면, 동남아시아 뷰티 시장 규모는 2024년 342억 1,000만 달러에 달하며, 2024년부터 2028년까지 꾸준한 성장이 예상된다. 이러한 트렌드는 동남아시아가 해외 뷰티 브랜드들에게 매우 중요한 시장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페이셜 케어, 아이·립 메이크업, 뷰티 디바이스와 도구, 네일 케어, 메이크업 제거 제품 등의 분야가 큰 관심을 받고 있다. Shopee와 Lazada에서 약 37만 개의 SKU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한 결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필리핀, 싱가포르 등 동남아 6개국의 시장 구조, 카테고리, 베스트셀러 브랜드, 가격대, 소비자 트렌드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