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나는 피부와 젊은 외모는 많은 베트남 여성들의 최우선 순위이다. 베트남의 스킨케어 시장은 전통과 현대 기술의 결합에 힘입어 흥미로운 발전의 단계를 겪고 있다.
Statista의 Beauty & Personal Care – Vietnam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까지 베트남 화장품 및 퍼스널 케어 시장의 매출은 26억 6천만 달러(한화 약 3.6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시장은 연간 2.97%(CAGR 2024~2028)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에서 가장 큰 부문은 퍼스널 케어로, 2024년까지 11억 7천만 달러(한화 약 1.5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또 온라인 판매는 2024년까지 전체 화장품 및 퍼스널 케어 시장 매출의 20.2%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베트남 중산층의 성장으로 천연 및 유기농 스킨케어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지속 가능과 친환경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Sustainable Vietnam에 따르면, 베트남 소비자들은 자연 및 환경 친화적인 뷰티 제품에 특히 관심이 많다. 사회적 책임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젊은 소비자, 특히 Z세대는 환경 보호, 친환경 소비 트렌드를 촉진하기 위해 Cruelty-free, 비건 제품을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베트남 화장품 브랜드들은 트렌드를 활용하여 현지에서 공급되는 식물 성분으로 제조된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유명 비건 브랜드 코쿤(Cocoon)은 닥락(Dak Lak) 커피, 흥엔(Hung Yen) 강황 등 베트남 식물을 사용한 제품 라인을 제공하고 있다. 또 꼬 멤(Cỏ Mềm)은 Silkworm, 병풀 추출물, 라이차우(Lai Chau) 인삼 추출물 등이 함유된 천연 스킨케어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는 특히 뷰티 산업에서 베트남 소비자의 취향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틱톡과 같은 플랫폼의 뷰티 인플루언서들은 제품을 소개하고 리뷰를 공유하고 트렌드를 설정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베트남 화장품 브랜드와 소매업체들은 인플루언서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콘텐츠 창작을 후원하고 소셜 미디어 광고를 활용하여 더 많은 소비자에 도달하도록 하여 온라인 판매를 촉진하고 있다. 이 온라인 생태계는 소비자들이 새로운 제품을 발견하고, 가격을 비교하고, 현명한 구매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해주며, 전자상거래 성장을 더욱 촉진한다.
또 전자상거래는 베트남의 화장품 쇼핑 트렌드에 혁명을 가져왔다. 이전에는 대도시에만 평판이 좋은 화장품 매장이 있었기 때문에 작은 지방에는 배송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따라서 작은 지방 소비자가 평판이 좋은 화장품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되었다. 그러나 쇼피(Shopee), 라자다(Lazada)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발전하면서 이러한 상황은 크게 달라졌다. 이 플랫폼은 국내외 브랜드의 다양한 뷰티 제품을 제공하며 모두 온라인에서 편리하게 구입할 수 있다.
Metric의 통계에 따르면, 2023년 3분기까지 뷰티 제품 산업은 전자 상거래 시장에서 가장 많은 매출을 창출하는 산업으로 쇼피, 라자다, 틱톡 샵 등 3대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8조 6천억 동(한화 약 4,587억 원) 이상을 기록했으며 1위를 차지했다. 이러한 성장은 베트남에서 온라인 화장품 쇼핑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강조했다.
베트남의 화장품 및 뷰티 시장은 변화를 겪고 있다. 제품의 천연성분에 대한 수요와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발전은 소비 트렌드를 형성하며 국내외 브랜드에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출처:
https://style-republik.com/xu-huong-tieu-dung-lam-dep-tai-viet-nam/
'베트남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 뷰티 케어 교육, 뷰티케어 및 한국어 복수전공 기회 (0) | 2024.05.27 |
---|---|
뷰티 업계, 베트남 Z세대가 관심을 가진 분야 (0) | 2024.05.22 |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가 추세 (2) | 2024.05.16 |
베트남서 뷰티 브랜드, 2024년 쇼퍼테인먼트 트렌드 (0) | 2024.05.15 |
콘텐츠 개발자가 쇼핑 행동에 주는 영향 (0) | 2024.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