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elsen의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 소비자의 화장품 지출은 많지 않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베트남 여성이 화장품 쇼핑에 지출하는 평균 비용은 월 50만 ~ 70만동 (한화 약 27,000~38,000원)이다.
베트남 사람들이 소비하는 화장품 중 최대 60%가 메이크업 제품이다. 22세 이상 사람들의 절반 이상이 화장품을 자주 사용하고 있다. 이는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에 다니는 사람들이며, 이들은 뷰티에 대한 수요가 많다. 화장품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들 중 뷰티 제품에 대한 지출은 10 % 증가했으며 73 % 이상이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이루어졌다.
2023년 첫 10개월만 해도 베트남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뷰티 제품 매출은 22조2,000억 동(한화 약 1.2조 원)에 달해 2022년 같은 기간보다 74% 증가했다. 이는 시장 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Metric에서 최근 발표한 보고서의 데이터이다. 이에 따라 경제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화장품 산업은 여전히 온라인에서 큰 구매력과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스킨케어 부문에서는 La Roche-posay, Anessa, Skin1004, Simple, Laneige 등 해외 브랜드가 매출을 주도하고 있다. 화장품 매출의 대부분은 일반매장에서 발생하고 있으나 매출액 기준 상위 5개 매장 중 4개가 쇼핑몰(정품 매장)이다. La Roche-posay, L'oreal, Anessa 등 유명 브랜드의 정품 매장이다.
그 중 50만동(한화 약 27,000 원) 미만의 가격대는 화장품 매출 점유율의 80%를 차지한다. 10만~20만동(한화 약 5,000~10,000 원) 가격대는 가장 잘 판매되는 가격대이다. 매출이 가장 높은 가격대는 20만~50만(한화 약 10,000~27,000 원)동으로 거의 8조 동(한화 약 4,300억 원)으로 전체 시장 점유율의 35%를 차지한다.
베트남 화장품 기업들은 현재 시장 점유율의 10 %에 불과하기 때문에 저가 부문에만 집중하고 인근 시장으로 수출할 수 밖에 없다. 나머지 90%의 기업은 해외 브랜드의 유통 대리점이다. 대부분의 해외 화장품은 베트남의 백화점을 장악하고 있으며, 주로 한국에서 온 퍼스널케어 제품이다.
Lancome, Shiseido, Estee Lauder 등 일부 대형 브랜드는 대부분 백화점에서 집중 판매되고 있다. Thai Duong, Thorakao, Miss Saigon, Lanna, Xmen, Biona 등과 같은 일부 베트남 브랜드도 화장품 시장에서 특정 입지를 구축했지만 주로 저가 부문에만 집중하고 국내 소비 시장 점유율에서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베트남의 화장품 산업은 지금까지도 소규모 생산과 비현대적인 생산 라인 기술 등 많은 한계를 지닌 아직 젊은 산업이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민텔(Mintel)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베트남 화장품 시장 규모는 약 23억 달러(한화 약 2.3조 원)로 추정되었다. 베트남 중산층은 2020년 3,300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이는 화장품 수요가 급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화장품 생산과 유통 시스템 확대를 위해 베트남으로 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베트남 화장품 브랜드는 시장 점유율이 크게 좁아지는 상황에 처해 있다. 온라인 마케팅 전문가인 Adtek의 창립자이자 CEO인 Tin Le는 "화장품 브랜드가 주로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판매하기로 선택한 상황에서 베트남 브랜드가 제품 품질을 보장해야 한다. 이는 고객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고 말했다.
둘째,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라이선스를 명확히 하여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할 때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화장품 산업은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에 브랜드 포지셔닝이 핵심 요소이다. 브랜드들은 수익을 늘리고 비용을 최적화하려면 전자상거래와 협력하여 판매 전략을 구현해야 한다.
베트남 화장품 시장은 국내 화장품 기업들이 제품 디자인, 포장재, 브랜드 홍보에 관심을 가지고 제품 홍보 및 유통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이 많은 자유무역협정에 참여하고 수입세를 0-5 %로 낮추면 베트남 화장품 시장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https://vneconomy.vn/my-pham-viet-thi-phan-con-khiem-ton.htm
'베트남 브랜드 & 제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FPT Long Chau, IHH Healthcare Singapore와 함께 건강 관리 생태계 구축 (3) | 2024.03.08 |
---|---|
세계 여성의 날, 기업 선물용 화장품 시장 활발 (0) | 2024.03.08 |
베트남 화장품 브랜드의 성공 스토리 (3) | 2024.03.06 |
Brand News: M.O.I Cosmetics, Lemonade, DR.G, I’m from, Sao Thai Duong (1) | 2024.03.05 |
Hoa Linh 제약회사, 2023년 베트남 전통제약사 TOP5 (0) | 2024.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