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커머스 데이터 분석 회사인 YouNet ECI는 2023년 9월부터 2024년 8월까지, 5개 중국 화장품 브랜드가 베트남의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Shopee, Lazada, TikTok Shop, Tiki에서 총 2,6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확인했다. 특히, 지난해 8월 한 달 동안 이 브랜드들의 총 거래액은 350만 달러로, 같은 기간 대비 180%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베트남에서 온라인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중국의 5대 뷰티 브랜드는 Focallure, Colorkey, Judydoll, Perfect Diary, Zeesea이다.
한편, 이커머스 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Metric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2024년 8월까지 Shopee, Lazada, Tiki 세 플랫폼에서 중국 화장품 브랜드들의 총 매출은 3,931만 달러에 달했고, 2024년 1월에는 매출이 391만 달러에 육박하는 최고치를 기록했다.
Metric은 TikTok과 Douyin에서 지난 1년 동안 뷰티 트렌드 확산이 중국 화장품 사용을 크게 촉진했다고 밝혔다. 이들 플랫폼에서의 메이크업 튜토리얼, 제품 리뷰, 뷰티 챌린지 영상들이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내며 특히 젊은 세대의 관심을 끌었다.
베트남 시장을 겨냥하여 젊은 층을 타겟으로 많은 중국 화장품 브랜드들이 영향력 있는 인플루언서들과 협력하여 광고와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적극적으로 마케팅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예를 들어, Võ Hà Linh, Hằng Du Mục, Phạm Thoại, Call Me Duy (Vũ Duy) 등이 이들을 대표하는 인플루언서들이다.
YouNet Media의 소셜 미디어 모니터링 도구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2024년 8월까지, 위에서 언급된 중국 화장품 브랜드와 관련된 약 60만 건의 토론과 2,100만 회 이상의 상호작용이 발생했다고 한다.
이 토론의 대부분은 18세에서 34세 사이의 사용자들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특히 이들 중 50% 이상이 Z세대(Gen Z)인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은 최근 중국 화장품 브랜드들이 적극적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4대 시장이다. 이 외에도 인도네시아, 태국, 싱가포르가 주요 공략 대상이다.
최근 TikTok에서 진행된 한 라이브 스트림에서는 Skintific의 크림과 클렌저를 포함한 제품 홍보 방송이 이루어졌으며, 300명 이상이 시청했다. Skintific은 중국에서 유명한 화장품 브랜드로, 2021년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한 이후 동남아 전역으로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토너, 파운데이션, 크림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며, 최소 4개 동남아 국가에서 판매되고 있다.
시장 조사 기관 Nint에 따르면, Skintific은 2024년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플랫폼 Shopee에서 화장품 매출의 5%를 차지했다. 또한,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서도 점점 더 주목받고 있다.
합리적인 가격은 중국 화장품의 가장 큰 강점 중 하나다. Skintific의 파운데이션은 공식 웹사이트에서 약 9.2달러에 판매되며,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는 이보다 절반 이상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한국, 미국, 일본 브랜드와 비교했을 때, 중국 화장품은 가격 경쟁력이 더욱 높다.
컨설팅 기업 TMO Group은 Skintific의 성공 요인으로 소비자 타겟층에 맞춘 제품 포지셔닝과 혁신적인 연구·개발(R&D) 전략을 꼽았다. 이 브랜드는 인도네시아의 습한 날씨, 강한 자외선 등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제품을 출시하며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상하이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의 또 다른 화장품 브랜드 Judydoll은 2024년에 싱가포르 시장을 전담하는 부서를 새롭게 설립했다. 또한, 이 브랜드는 동남아시아 피부 톤에 맞춰 특별히 디자인된 제품 라인을 출시했다.
ASEAN Hakuhodo 연구소의 분석가인 Yuko Ito는 “중국 브랜드는 더 이상 값싸고 품질이 낮은 브랜드로 여겨지지 않으며, 이들은 엔터테인먼트 및 드라마를 통해 로컬 화장품을 매우 효과적으로 홍보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브랜드들은 국내 시장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동남아시아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고 있다. 2024년 중국의 화장품 매출은 약 1070억 달러로 3% 감소했다. 이는 2022년 이전의 두 자릿수 성장에 비해 상당한 하락세이다.
최근 중국 브랜드들은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제품 패키지와 마케팅에 영어와 현지 언어를 적극 활용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이는 소비자들이 제품의 성분과 사용법을 더 쉽게 이해하도록 돕고,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
출처: https://forbes.vn/my-pham-trung-quoc-no-luc-mo-rong-thi-truong-tai-dong-nam-a
'동남아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럭셔리 스킨케어 브랜드 POLA, 동남아시아 시장 공략 (1) | 2025.04.12 |
---|---|
중국 F&B 체인, 동남아 시장 진출 가속화 (0) | 2025.03.21 |
베트남, 동남아 음식 배달 시장 성장 선도 (1) | 2025.02.21 |
동남아시아 화장품 전자상거래 시장 트렌드 (0) | 2025.02.15 |
동남아시아 화장품 시장 공략 기회 (0)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