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광고를 위한 라이브 방송을 진행할 때, KOL(인플루언서)은 모든 사람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해당 방송이 광고임을 명확히 공지해야 하며, 특히 방송 시작과 함께 이를 알려야 한다.
정보통신부에서 제안한 KOL 관리 및 활용 방안에서 주목할 만한 내용은 광고 상품 전달자의 책임을 보완하는 규정을 추가하자는 것이다. 이러한 규정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다.
∆ 광고되는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반드시 충분하고 정확해야 한다;
∆ 광고와 다른 정보 내용을 분명히 구별해야 한다;
∆ 소비자는 광고 수행 사실을 미리 통지받아야 한다;
∆ 화장품이나 건강식품에 대한 의견이나 감상을 소셜 미디어에 공유할 경우, 반드시 해당 제품을 직접 사용한 사람이 작성해야 한다;
∆ 인증된 소셜 미디어 계정만이 광고 및 라이브 방송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실제로, 정부에 제출 중인 72/2013/NĐ-CP 및 27/2018/NĐ-CP의 개정안에서 정보통신부는 소셜 미디어에서의 라이브 방송 활동을 관리하기 위해 더 엄격한 규정을 추가하였다. 이 규정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계정을 인증하도록 요구하며, 인증된 계정만이 정보를 게시(글쓰기, 댓글 달기, 라이브 방송)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보낸 공문에서 정보통신부는 개정 광고법 초안에 "광고 제품 전달자"의 정의를 수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현실에 맞추고 예술가, 유명인, KOL, KOC 및 소셜 미디어 영향력 있는 사람들의 광고 활동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새로운 정의는 "광고 제품 전달자"가 소셜 미디어와 다른 형태를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직접 광고하고 소개하거나 인증하는 사람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들은 광고 활동을 통해 보수, 커미션 또는 후원금을 받을 수 있다.
동시에, 정보통신부는 광고 제품 전달자의 의무도 추가할 것을 제안하였다. 즉, "소셜 미디어에서 광고할 때는 일반적인 게시물과 광고 목적의 콘텐츠를 구별하기 위해 눈에 띄는 표시나 소셜 미디어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해야 한다."
이에 대해Tonkin Media회사의 Võ Quốc Hưng이사는 상품을 광고하는 라이브 방송을 진행할 때 KOL이 공지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소비자는 자신이 보고 있는 내용이 광고라는 것을 알아야 하며, 시청을 계속할지 선택할 권리가 있다.
Võ Quốc Hưng 씨는 이 공지는 라이브 방송 프로그램의 화면 구석에 고정된 스티커로 나타낼 수 있거나, 광고 라이브 방송이 시작될 때 필수적인 대화로 진행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환경에서는 시청자가 6초 후에 계속 볼지 여부를 판단하며, 대다수는 화면을 보지 않고 듣기만 한다고 언급하였다.
Buzi Agency의 Nguyễn Duy Vĩ CEO는 광고 프로그램이라는 사실을 알리는 것 외에도, KOL이 해당 제품이 광고 허가를 받았는지 여부를 알리는 것도 필요하다고 분석하였다. 현재 제품을 신문이나 방송에서 광고하고자 할 경우, 많은 서류를 제출하여 제품을 증명해야 하지만, 소셜 미디어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엄격하게 관리되지 않아 무분별한 광고가 이루어지고, 허가를 받지 않은 제품까지 광고되는 실정이다.
Nguyễn Duy Vĩ씨는 이러한 상황이 신문과 방송이 소셜 미디어에 광고 시장 점유율을 빼앗기는 원인이라고 말했다.
AccessTrade의 Đỗ Hữu Hưng CEO는 KOL이 제품을 평가하는 것과 광고를 구분하는 것이 국제 규정을 참고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영향력 있는 사람들이 소셜 미디어에서 제품이나 브랜드를 광고할 때, 그 제품이 후원을 받았는지 또는 브랜드로부터 금전을 받았는지를 명확히 고지해야 한다.
https://vietnamnet.vn/kol-can-minh-bach-khi-livestream-quang-cao-san-pham-2331768.html
'베트남 이슈 및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상거래 플랫폼 통한 농산물 소비 촉진 (3) | 2024.10.28 |
---|---|
Beauty Summit 2024, 뷰티 분야의 무역 촉진 확대 (0) | 2024.10.25 |
베트남 정보통신부, KOL의 관리 및 활용에 대한 제안 (0) | 2024.10.24 |
지속가능한 천연약초 개발지역 조성계획 (3) | 2024.09.07 |
호치민시에서 “Shopping Season 2024” 이벤트 개최 (5) | 2024.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