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이슈 및 정책

지속가능한 천연약초 개발지역 조성계획

베트남은 4,000종이 넘는 다양한 약용 식물을 보유하고 있지만 현재 80% 약재가 해외에서 수입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 제약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제약 산업 개발 계획에서는 천연 약재 채취 지역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강조되고 있다.

 

자원은 많지만 약재의 80% 이상이 수입된다.

 

베트남에는 현재 4,000종 이상의 약용 식물, 50종의 해조류, 75종의 광물 및 약용 동물 약 410종이 있다. 특히 아니스나무, 계피, 아티초크, 응옥린 삼과 같은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귀한 약용 식물들이 있다. 베트남에서 재배되는 약용 작물의 총 생산량은 연간 약 10만 톤으로 추정된다. 다양한 기후와 토양 조건 덕분에 베트남은 약용 식물 재배 및 생산을 위한 전문 농업 지역을 개발하여 천연 자원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약용 산업을 성장시키고 있다.

 

베트남 전역에는 약용 식물의 수집 및 보존을 위해 여러 센터가 설립되었다. 예를 들어, 옌뜨 약초 정원과 하노이 약용 식물 연구 및 가공 센터 등이 있다. 약 5,117종의 약용 식물을 보유한 베트남은 약용 식물을 발전시켜 기술 경제 산업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잠재력과 장점을 가지고 있다. 약용 식물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인간을 위한 의약품, 건강 식품, 음료, 화장품 등을 생산하는 데 이용된다. 또한, 약용 식물은 농약, 동물약, 수산 및 해산물용 의약품의 원료로도 사용되고 있다.

 

현재 베트남의 일부 기업, 협동조합, 협력 단체들은 계피, 아니스, 초과, 강황, 스티프놀로비움 자포니쿰, 밀레티아 레티큘라타 벤스 등 다양한 약용 식물을 개별적으로 수출하고 있지만 그 비율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비록 계피와 아니스의 총 수출 가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2년에 2억 7,600만 달러에 달했으나, 이는 전 세계 약용 식물 시장에서 여전히 작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 기업, 협동조합, 협력 단체들이 약초 재배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치열한 경쟁에 직면해 있다. 특히, 국내에서 청정 약초를 재배하는 기업들은 국내에서도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이는 국내에서 재배한 청정 약초의 판매 가격이 수입 약초와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기 때문이다.

 

베트남은 4,000종 이상의 다양한 약초를 보유한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약 80%의 약초를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다. 그 이유는 생산이 아직 분산되어 있고 교통이 어려운 지역이 많기 때문이다.

베트남에는 풍부한 약초 자원이 있다.

 

보건부 전통의학 및 약학 관리부의 Trần Minh Ngọc 부국장에 따르면 많은 원료를 수입하고 일부 시장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완제품의 공급이 제한되어 생산 비용이 증가하며 이로 인해 시장에서 약값이 상승하고 있다. 원자재에 대한 의존도가 크기 때문에 통계에 따르면 약초로 만든 제품이 시장 수요의 약 50%만 충족하고 있으며 해외로 수출되는 제품의 가치도 매우 미미하다.

 

정부가 승인한 2030년까지의 약품 및 약초 산업 발전 계획과 2045년까지의 비전은 2025년까지 8개의 지속 가능한 자연약초 개발지역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현재 상황을 변화시키기 위한 해결책 중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8개의 주요 약초 지역은 24종의 약초를 선택하고 합리적으로 활용하여 매년 약 2,500톤의 약초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계획에 따라 베트남의 8개 주요 약초 지역은 다음과 같다. 북서부, 북동부, 홍강 삼각주, 북중부, 중부 해안, 고원, 남동부, 그리고 남서부. 이 8개 약초 재배 지역의 계획은 베트남의 기후, 토양, 생태 요소에 따라 지역을 나눈 방식과 일치하다.

 

전문가들은 자연 약초 개발지역을 4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구축하여 약초 원료를 자주적으로 확보하는 것 외에도, 향후 베트남 제약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 제약 기업들이 청정 원료 재배 지역을 확장하고 표준화하며 최신 기계와 높은 수준의 전문가 팀을 투자하여 약초 가공 및 생산 과정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소비자에게 실제로 안전하고 품질이 뛰어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EU-GMP, PIC/S, JAPAN-GMP 등과 같은 높은 기준을 목표로 공장 업그레이드에 투자하는 것도 중요하다. 제약 소매 체인도 유통망을 개선하고 제품 유통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동시에 4.0 기술을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활동을 최적화해야 한다.

 

출처: https://suckhoedoisong.vn/quy-hoach-xay-dung-cac-vung-khai-thac-duoc-lieu-tu-nhien-ben-vung-tao-da-cho-nganh-duoc-phat-trien-169240815110432145.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