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트렌드

베트남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세 지속

최근 몇 년 동안 베트남 소비자들은 약국, 슈퍼마켓, 전자상거래 플랫폼 등에서 정품 건강기능식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다. 특히 여성과 노년층이 주요 고객층인 이 산업은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제품 종류가 다양해졌다.

 

유통채널 확대 및 제품 종류 다양화

 

지난 12개월 동안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건강기능식품 시장에 대한 Metric(베트남 전자상거래 데이터 플랫폼)의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산업 매출은 약 3 5,680억 동(한화 약 1,956억 원)에 달했으며 약 1,430만 개의 제품이 20~50만 동(한화 약 11,000~27,000)의 가격으로 판매되었다. 가장 인기 있는 품목은 여성을 위한 뷰티 및 헬스케어 제품이다.

 

코로나19 이후부터 건강 관리 습관이 바뀌었으며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이 치료보다 질병 예방에 더 집중했다. 따라서 온라인 쇼핑 채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소규모 유통업체들이 더 인기 있는 제품을 홍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 유통업체인 PharmaDi Ngo Anh Ngoc CEO에 따르면, 현재 베트남에 있는 주요 브랜드 외에도 베트남 기업들도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여 수입 제품보다 가격이 저렴한 제품들을 제공하고 있다.

PharmaDi에서 유통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

5년 만에 이러한 급격한 성장으로 건강기능식품 종류가 10,000개에서 30,000개로 3배 증가했다. Ngo Anh Ngoc "약국에서 유통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규모와 약품의 규모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약 5,000개의 제품을 판매하는 약국에는 약 1,500~2,000개의 건강기능식품이 있다."고 말했다.

 

베트남 건강기능식품 시장에는 치료 보조 식품, 영양 식품 등 종류가 다양하다. 치료 보조 식품의 경우 제품 효과가 명확할수록 입소문을 통해 구매자를 설득하기 쉽다. 영양 식품의 경우 사용자가 명확한 효과를 느끼기 어렵기 때문에 제조사의 신뢰성, 공보 서류 및 임상 테스트 결과 등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이 제품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고객층은 여성, 어린이, 만성 질환(당뇨병, 콜레스테롤 질환, 혈압, 관절 등)을 앓고 있는 노인들이다.

 

Ngo Anh Ngoc "베트남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우리는 구매자가 제품을 잘 이해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력과 자원이 많이 필요하다.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 약국외에 편의점, 맘앤베이비 매장, 기타 의료채널로 유통 채널을 확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시장 확대를 위한 도전

 

조사에 따르면 호주, 일본, 미국, 캐나다, 유럽산 제품이 베트남에서 매우 인기가 높다. 그러나 PharmaDi는 베트남 제품이 수입 제품과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베트남 브랜드가 풍부한 약초와 전통 의학, 시장 경험, 합리적인 가격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약국과 소규모 유통업체는 제품을 선택하는 데 너무 다양한 제품 종류, 해당 부문 및 해당 지역의 고객 수요에 적합하지 않은 제품 개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리고 제품 종류가 너무 많아지면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상담을 제공하기가 어려워진다.

고객들에게 알려진 제품이 아니면 고객들이 신뢰할 수 있게 만들 수 있을지도 건강기능식품 업계의 문제이다. Vivita 약국의 CEO Le Anh Khoa "우리는 제품을 선택하기 전에 생산 기술, 원산지, 제품 인기도, 제품 품질, 구매 후 고객 서비스, 할인 정책 등을 고민해야 한다. 그리고 약사의 상담과 결합해서 매출을 올린다.”고 말했다.

 

Le Anh Khoa에 따르면 약품 판매량이 약 50~70%를 차지하고 나머지 30~50%는 건강기능식품이다. 제품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구매자는 제품 상담 및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는 평판이 좋은 판매점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