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그림의 밝은 부분
외국 투자 유치는 2024년 첫 4개월 동안 경제의 긍정적인 증가추세이다. 2024년 5월 4일에 열리는 정기 정부 회의에서 기획투자부 지도자들은 이를 강조하였다.
기획투자부에 따르면 올해 첫 4개월 동안 총 등록 외국 투자 자본은 거의 93억 달러에 달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5% 증가하였다. 지출된 자본은 7.4% 증가한 63억 달러에 달해 지난 5년 중 첫 4개월 동안 최고 수준에 도달하였다.
외국 투자국 (기획투자부) 국장인 Do Nhat Hoang으이 강조한 사항은 이전대비 신규 등록 자본의 강력한 성장이다. 지난 4개월 동안 최대 966개의 신규 등록 프로젝트에 투자 등록 증명서가 부여되었으며, 총 등록 자본금은 71억 1천만 달러 이상으로 전년 동기 대비 프로젝트 수는 28.8%, 투자 측면에서는 73.2% 증가하였다. 이러한 성장은 팬데믹과 글로벌 지정학적 변동의 영향으로 글로벌 투자 흐름이 여전히 어려운 상황에서 정말 고무적인 현상이다.
Hyosung은 베트남에 진출한 지 14년동안 바리아-붕따우, 동나이, 꽝남, 박닌의 공장에 4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하였다. 최근에는 2024년 3월 말에, Hyosung은 바리아-부옹타우에서 7억 3천만 달러 규모의 생물학 제품 생산에 특화된 프로젝트를 추가로 투자하였다. 이 공장 투자 결정은 글로벌 소재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여 지속 가능한 제품에 집중하는 적응 계획의 일환이다.
Hyosung의 생물학 제품 생산 프로젝트는 올해 초부터 현재까지 등록된 최대 외국 투자 프로젝트라는 의미를 넘어, "품질"에 대한 확실한 변화도 나타낸다. 생물학 제품 생산은 베트남이 투자를 유치하는 데 적극적으로 장려하는 분야 중 하나이다.
Do Nhat Hoang 씨는 "최근 4개월 동안 에너지 분야의 다양한 대형 프로젝트, 예를 들어 배터리 생산, 광전지 셀, 실리콘 막 등, 부품 생산, 전자 제품, 가치 추가 제품 생산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투자 및 자본 확장이 이루어졌다"고 언급하였다.
양적 - 질적 향상
기획투자부는 정부 정기회의에서 보고하면서 "많은 대규모 글로벌 기술 기업들이 베트남의 전자, 칩, 반도체, 에너지 산업에 협력하고 투자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고 강조하였다.
최근 Apple, NVIDIA, Lam Research 등의 움직임을 살펴보면 첨단기술 분야의 자본이 베트남으로 더 많이 유입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베트남의 기회는 엄청나다. 따라서 Nguyen Chi Dung 기획투자부 장관은 앞으로도 가공산업, 제조, 전자, 반도체, 수소 등 분야에서 대규모 첨단기술 외국 투자 프로젝트 유치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Nguyen Chi Dung 장관은 "외국투자 기업의 어려움과 문제를 신속하게 처리하여 프로젝트 진행 속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NVIDIA Corporation의 Keith Strier 부사장은 하노이, 다낭, 호치민시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가까운 미래에 베트남과 협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베트남은 AI 기술을 마스터하는 것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을 강력하게 개발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갖추고 있다."라고 Keith Strier는 덧붙였다.
게다가, NVIDIA가 베트남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세 가지 큰 계획이 있다는 정보도 있다. 그것은 AI에 대한 연구, 개발 및 교육 센터를 설립하는 것; 초고속 컴퓨터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 그리고 초고속 컴퓨터용 그래픽 처리 장치(GPU) 생산 일부를 베트남으로 이전하는 것이다. 이러한 계획이 실현된다면, 이는 베트남이 이러한 분야에서 투자를 유치하는 큰 기회가 될 것이다.
삼성 베트남 총괄 이사 최주호씨가 "베트남은 글로벌 공급망에서 그 중요성을 점점 입증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치, 인력, 인프라 측면에서 베트남의 강점이 뚜렷하게 드러나며, 이에 전 세계에서 점점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라고 말했다. 삼성이 국가 혁신 창조 센터(NIC)와 함께 2023-2024 학년도에 NIC Hoa Lac 캠퍼스에서 기술 인재 개발 프로그램인 "삼성 혁신 캠퍼스 (SIC)"를 시작하였다.
최주호 단장은 이 프로그램을 실현하기 위해 NIC와의 협력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베트남의 2030년까지 5만 명의 반도체 산업 노동력 양성 목표를 실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또한 삼성이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발전시키고 있는 고기술 산업 분야에서 베트남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하였다.
최주호 단장은 "전 세계 첨단기술 기업들이 베트남 투자 기회를 찾기 위해 경쟁하고 있어 첨단기술 인재에 대한 수요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고 강조하였다.
삼성은 매년 약 10억 달러를 베트남에 추가 투자하고 있다. 작년에는 이 숫자가 12억 달러로 늘어났다. 한편, 세계적으로 선두적인 칩 생산 장비 공급업체인 Lam Research는 베트남에 수십억 달러 규모의 공장 설립을 모색하고 있다.
그리고 Nikkei Asia의 최근 정보에 따르면 "대형" Alibaba도 베트남에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기를 원하며 예상 예산은 10억 달러가 넘는다.
'베트남 이슈 및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라인 의약품 소매 활동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조치 필요 (0) | 2024.05.16 |
---|---|
베트남의 수출 상품 가치 향상: 창조 산업과 하이테크 산업 발전 필요 (0) | 2024.05.13 |
뷰티산업, 약초산업 발전의 기회 열어 (0) | 2024.05.10 |
베트남 규제 업데이트: 화장품 규정 개정 제안 (0) | 2024.05.10 |
크로스보더 시대의 베트남 화장품 사업과 위기 (0) | 2024.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