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가 강화됨에 따라 외국인 투자자들은 베트남을 새로운 투자 목적지로 선택할 뿐만 아니라 기존 프로젝트의 규모를 확대할 준비도 하고 있다. 이것이 베트남에 대한 외국인 투자가 계속해서 긍정적인 추세를 기록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신뢰 강화로 대형 프로젝트 복귀
"신뢰"는 2025년 상반기 사회경제 상황에 대한 재정부 보고서와 외국인 투자 유치 현황 보고서에서 상당히 많이 언급된 표현이다.
"2025년 6월 30일 기준 베트남에 등록된 총 외국인 투자 자본은 215억 1천만 달러 이상을 기록하여 전년 동기 대비 32.6% 증가했으며, 이는 국제 투자자들에 대한 베트남 시장의 매력을 보여준다."
"이 수치는 신규 허가 자본, 조정 등록 자본, 외국인 투자자의 출자 및 지분 매입 가치를 포함한다(각각 93억 달러로 9.6% 감소, 89억 5천만 달러로 2.2배 증가, 32억 8천만 달러로 73.6% 증가). 이는 투자 형태의 다양성과 국제 기업 커뮤니티의 증가하는 신뢰를 보여준다."
"조정 등록 자본이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이전 년도에 허가 받은 826개 프로젝트가 투자 자본 조정을 등록하여 총 89억 5천만 달러가 추가되었고,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2배 증가했다. 이는 베트남에서 운영 규모를 확대하려는 투자자들의 신뢰를 보여준다."
이는 재정부가 제시한 평가들이다. 또한 재정부는 2025년 상반기 실행된 외국인 직접투자 자본이 117억 2천만 달러로 추정되어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하고 지난 5년간 상반기 중 최고 수준을 달성한 것이 "베트남의 효과적인 프로젝트 실행 및 전개 능력을 반영한다"고 확인했다.
위의 평가들은 외국인 투자가 계속해서 경제의 밝은 점임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글로벌 경제가 여전히 많은 변동성을 보이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베트남을 새로운 투자 목적지로 선택할 뿐만 아니라 기존 프로젝트의 규모를 확대할 준비도 하고 있다. 이것이 베트남에 대한 외국인 투자가 계속해서 긍정적인 성장 추세를 기록하는 이유다.
더욱이 주목할 점은 많은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들이 베트남에 "상륙"했다는 것이다. 그 중에는 SYRE 그룹(스웨덴)의 10억 달러 프로젝트나 Trump Organization의 15억 달러 프로젝트를 들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옌소(Yên Sở) 공원 프로젝트가 11억 2천만 달러 증자, 남탕롱 (Nam Thăng Long) 신시가지 개발 프로젝트가 7억 8천만 달러 증자를 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프로젝트들은 지난 6개월간 등록된 총 외국인 투자 자본의 급증에 크게 기여했으며, 재정부의 평가대로 베트남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신뢰를 보여주었다.
SYRE는 유럽 투자자다. 수잔나 캠벨(Susanna Campbell) - SYRE 그룹 회장은 10억 달러 투자로 SYRE가 베트남을 미국과 EU 기준의 첨단 기술을 적용한 순환 섬유 분야의 첫 번째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 베트남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에 부합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2025년 4월 초 LEGO 그룹(덴마크)도 빈즈엉(현재 호치민시)에 13억 달러 이상 규모의 공장을 준공했다.
선도적 프로젝트 필요
베트남에 대한 외국인 투자 자본이 여전히 강력하게 유입되고 있다. 하지만 응우옌 반 탕(Nguyễn Văn Thắng) 재정부 장관은 최근 정부 정기 회의와 지방 정부 회의에서 정부에 보고하면서 외국인 투자 자본 흐름이 "매우 적극적"임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첨단 기술 프로젝트로 가치 사슬을 선도하고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전략적 투자자 유치가 지연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것이 바로 베트남이 올해 8% 이상의 경제 성장률과 향후 몇 년간 두 자릿수 성장률을 달성하기 위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촉진하려면 추진해야 할 프로젝트들이다. 투자 환경 개선을 지속하고 첨단 기술 및 핵심 기술 분야의 대기업 투자 유치를 강화하는 것이 베트남 정부가 노력하고 있는 사안이다.
"개혁은 서류 감축에만 그칠 수 없다. 투명하고 예측 가능한 법적 프레임워크와 기능 기관 간의 효과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브루노 야스파르트(Bruno Jaspaert) – EuroCham 회장도 말했다.
한편 베트남 공단 금융협회(VIPFA) 부회장 겸 사무총장이자 DVL Ventures 회장인 응우옌 홍 중(Nguyễn Hồng Chung) 변호사에 따르면 제도가 핵심 요소다.
향후 베트남의 투자 유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두 가지 사안이 있다. 바로 미국의 관세 정책과 베트남의 행정 단위 재편성이다. 외국인 투자 유치 현황에 대한 보고서에서 외국인투자청(재정부)도 이를 강조했다.
외국인투자청에 따르면 미국의 대응 관세 정책이 국제 투자자 커뮤니티에 우려를 조성할 수 있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 일부가 특히 대규모 장기 프로젝트에서 자금 집행 과정에 더욱 신중해지는 원인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토 람(Tô Lâm) 당 총서기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간의 직접 전화 통화 이후 긍정적인 소식이 전해졌다. 이에 대해 비나캐피털(VinaCapital)은 베트남 상품에 부과되는 관세가 다른 국가들보다 10% 이하로 높지만 않으면 베트남은 여전히 외국인 투자 자본을 "강력하게 유치"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행정 기구 재편성과 관련해서 외국인투자청은 이것이 외국인 투자자들의 신뢰를 강화하는 핵심 요소이며, 향후 광범위한 행정 개혁과 더욱 개방적인 투자 환경에 대한 기대를 조성한다고 보았다.
https://baodautu.vn/nha-dau-tu-ngoai-tiep-tuc-doc-von-vao-viet-nam-d324236.html
'베트남 이슈 및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6년부터 전자상거래 플랫폼 상품 품질표준 인증 공개 의무화 (3) | 2025.07.14 |
---|---|
보건부, 건강기능식품 품질 자율공시 제도 폐지 제안 (1) | 2025.07.12 |
달랏대학교, 강원대학교·춘천시 생명산업진흥재단과 국제 생명산업 발전 학술회의 개최 (2) | 2025.07.09 |
베트남 의료관광, '외국인 환자 유치' 급성장세 (1) | 2025.07.07 |
기업, 인공지능 시대로 진입 (0) | 2025.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