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이슈 및 정책

친환경 전환 위한 자본 유치

지속가능한 발전과 4차 산업혁명의 맥락에서 베트남 기업들에게 녹색 전환과 디지털화를 위한 투자 자본 조달이 최우선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2024년은 베트남의 녹색 경제 전환 과정에서 괄목 할 만한 발전을 이룬 해로 기록되었다. 과거에는 재생에너지가 높은 투자 비용으로 인해 많은 도전에 직면했으나, 정부의 지원 정책 덕분에 이 시장이 활성화되었다. 베트남은 특히 풍부한 자원 잠재력을 가진 중부와 남부 지역에서 태양광과 풍력 발전 프로젝트 개발에 큰 진전을 이루었다.

 

또한 베트남에서 유기농업과 친환경 농산물 생산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이는 공동체의 건강을 보호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보장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정부는 베트남 농산물의 가치와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농업 생산에서 첨단기술 응용을 장려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녹색 전환이 많은 기회와 이점을 제공하지만, 특히 베트남에서 여러 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과제들은 재정 문제, 장기적 이익에 대한 인식, 미흡한 지원 정책 등을 포함한다.

 

경제 전문가 Nguyễn Trí Hiếu는 큰 진전이 있었음에도 베트남의 녹색 경제 전환 과정이 여전히 적지 않은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밝혔다. 그 중에서 재정 문제가 가장 큰 어려움이다. 녹색 에너지 전환 프로젝트, 특히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는 큰 투자 자본을 필요로 하는 반면, 베트남에서 이러한 자본에 대한 접근성이 여전히 제한적이다.

 

개발 자금 조달은 에너지 전환의 문을 여는 열쇠일 뿐만 아니라, 베트남과 같은 개발도상국에서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며, 삶의 질을 개선하는 기회이기도 하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특히 신흥 시장과 개발도상국 경제에서 청정에너지 투자 규모를 확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금융기관들은 신흥 시장과 개발도상국 경제에서 더 많은 청정에너지 프로젝트를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 많은 민간 투자 자본을 유치할 수 있다.

 

세계은행(WB)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은 2022-2040년 기간 동안 약 3,680억 달러(매년 GDP의 6.8%에 해당)가 필요하며, 이는 회복력 구축과 탄소 배출 감축을 통해 Net-Zero 목표를 달성하기 위함이다.

 

계획투자부의 계산에 따르면, 베트남은 2050년까지 Net-Zero 공약을 실현하기 위해 2021-2050년 기간 동안 GDP의 2.2%에 해당하는 1,440억 달러의 추가 자금을 조달해야 한다. 이러한 거대한 자원은 전체 정치 시스템, 각 부처, 국제 금융기관, 특히 기업들의 협력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녹색 전환을 위한 자금을 유치하기 위해 금융 기관과 민간 투자자의 참여가 녹색 전환 과정에 필요한 자금 규모를 확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Kitty Bu - 글로벌 에너지 동맹 (GEAPP- Global Energy Alliance for People and Planet) 동남아시아 부회장은 베트남이 에너지저장시스템(BESS)과 같은 기술을 확대할 때 민간 투자자와 금융기관이 재생에너지 자금 조달 격차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우대 대출, 녹색채권, 보증과 같은 혼합 금융 모델은 투자 위험을 줄이고 민간 자본을 유치할 수 있다.

 

또한 Kitty Bu 부회장은 베트남이 전통 연료 산업에서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근로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투명한 소통과 지역사회 참여는 신뢰를 구축하고 지역사회가 전환 과정에 참여하고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 핵심 요소이다.

 

https://kinhtemoitruong.vn/thu-hut-von-cho-qua-trinh-chuyen-doi-xanh-96200.html